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요즘 인공지능(AI)이 일상 곳곳에 들어오면서, 우리는 AI에게 “검색해줘”, “정보 알려줘” 같은 명령을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습니다. 특히 ChatGPT처럼 웹 검색 기능을 가진 AI도 등장하면서, 많은 분들이 이런 질문을 하게 됩니다.

    “웹 검색도 되고, ChatGPT도 검색하는데…
    MCP는 도대체 뭐가 다른 걸까?”

    이 글에서는 바로 그 MCP(Model Context Protocol)이 무엇인지,
    웹 검색과는 어떤 점이 다른지,
   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보겠습니다.

    MCP란 무엇인가요?

    MCP는 ‘Model Context Protocol’의 약자로,
    AI가 다양한 시스템(문서, 앱, 파일, 웹 서비스 등)과 직접 연결될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‘공통 언어’입니다.

    쉽게 말해,

    "AI가 사람처럼 외부 시스템과 대화하고, 정보를 꺼내오고, 직접 실행까지 하도록 만드는 연결 통로"입니다.

     웹 검색 vs MCP 차이표

    구분 웹 검색 (ChatGPT 검색 포함) MCP (Model Context Protocol)
    역할 인터넷에서 정보 찾아줌 다양한 시스템과 AI 연결
    데이터 출처 공개된 웹사이트 내 파일, 문서, 앱, API 등
    사용 방식 질문 → 검색 → 요약 질문 → 직접 실행 또는 데이터 조작
    예시 "김치볶음밥 레시피 찾아줘" → 블로그 요약 "내 냉장고 재료로 레시피 추천해줘" → 재료 확인 후 자동 추천

    비유로 더 쉽게!

    • 웹 검색은 “AI가 밖에 나가서 물어보고 오는 것”
    • MCP는 “AI가 내 집 안 물건을 직접 열어보고 일하는 것”

    예를 들어 내가 회사에서 사용하는 고객관리 파일이 있다고 할 때,
    웹 검색 기능만 있는 AI는 그 파일을 볼 수 없습니다.
    하지만 MCP를 통해 연결하면,
    AI가 그 파일을 직접 열고, 조건에 맞는 고객만 추려주는 일까지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    그렇다면 ChatGPT는?

    ChatGPT도 웹 검색 기능이 있습니다.
    하지만 그것은 외부 정보를 찾아 설명해주는 기능이고,
    내 PC에 있는 파일, 내가 쓰는 앱과 연결해 일을 시키는 기능은 아닙니다.

    MCP는 바로 이런 직접 연결과 작업 수행을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인 것입니다.

     

     마무리 한 줄 정리

    웹 검색은 정보만 가져오고,
    MCP는 정보를 직접 만지고 사용하는 AI의 손입니다.
    반응형